2017. 12. 12. 17:56


외부 출판사에서 출간하는 첫 책이 나왔다.

머릿속에 맴돌던 내용을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정리했고,

논문에는 어울리지 않았지만 해설서에는 필요한 내용을 추가했다.


나름 힘들고 긴 작업시간이었고, 

탈고한 후에는 두근거리면서 기다렸는데

나오고 나니 덤덤


누구보다 응원해주고 지원해준 가족들 덕이다.

표지 날개에 주연이가 그린 캐리커처를 넣을 수 있었던 것도 너무 즐겁다.


그리고 그렇게 열심히 교정을 봤는데

예상대로

처음 펼쳐본 쪽에 오타가!!

역기 기대에 어긋나지 않아.


책을 낼 수 있게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머리말]


  노동법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가슴에 이상(理想)의 노동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때로는 괴로움을 때로는 현실 노동법에 대한 치열한 해석 욕구를 동시에 발현시키는 에너지입니다. 이 에너지가 누적되어 임계점에 이르게 될 때 공부하는 사람은 새로운 입법론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2010년 1월 1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 큰 폭으로 개정됐습니다. 이상의 노동법과 더 다른 쪽을 향해 직선으로 방향을 잡은 현실 노동법에 직면해야 했습니다. 2010년 이후의 단체교섭법은 오랜 시간 공부하고 기도하면서 그려온 아름답고 완결된 법전의 체계와 너무 다릅니다. 게다가 그나마 주어진 조문의 내용 및 체계와도 맞지 않는 해석론들이 이미 화석처럼 딱딱하게 자리 잡아 우리의 단체교섭 제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조문들과 해석론들이 과연 공동체 구성원들에 대한 방향제시와 분쟁해결 기준이 될 수 있을지 혼란스러웠습니다. 눈앞에 덩그러니 놓인 현실의 단체교섭 관련 조문들을 이성적으로 풀이하고 납득할 만하게 적용되도록 하려면, 법전 전체를 아우르는 안목과 노동법 및 노사관계의 역사적 흐름을 꿰뚫는 식견에 기초해서 상식이나 관행에 사로잡히지 않는 새로운 해석론을 만들어내야 했습니다. 올바른 해석론은 올바른 입법론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작업은 더욱 절실했습니다. 저와 같이 모자란 사람이 쉽사리 할 수 없는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어설픈 해석 욕구가 치열하게 올라왔지만 두려운 마음으로 누르면서 여러 해 동안 고민하고 정리했습니다. 그 과정은 2014년 모교 은사이신 하경효 교수님의 지도를 받아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한 매듭을 지을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더디고 부족한 제자를 오랜 시간 인내하고 기다려주셨습니다. 턱없이 부족한 문장들을 들고 늦은 밤 찾아온 제자에게 따뜻한 차를 사주시면서 타이르고 가르쳐주셨던 시간들을 잊을 수 없습니다. 학위 논문을 쓰면서 정리했던 내용을 더 다듬고, 독백이 아닌 대화를 염두에 두면서 생략했던 내용들을 추가했습니다. 입법론까지 너무 많이 나아가지 않고 해석론으로서 충실하고자 했습니다. “단체교섭은 서로를 위해 보장된 대화”라는 명제가 참이 되도록 하기 위해 한 방향을 향해 논리를 집중했습니다.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고자 애썼습니다. 완결된 체계라고 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책자가 논쟁의 밀알이 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겠습니다. 편안하고 재미있게 읽어주신다면 정말 행복하겠습니다.


  공부의 한 매듭을 만들면서, 너무도 과분한 가르침을 넘치게 주셨던 큰 산 같은 모교 선생님들, 자랑스러운 민사법 전공 선배님들과 동기와 후배들, 글을 통해 가르침을 주신 학계의 여러 선생님들, 실무에 눈을 뜨게 해주신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선배님들과 동료들, 무수한 현실의 난제들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눠주신 현장의 노사 실무자분들을 기억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공부하는 남편을 항상 지지해준 아내 순영, 아빠에게 늘 힘을 주는 서연과 주연, 그리고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사랑과 고마움을 전합니다. 느닷없는 출판 제의를 수락하시고 정성스레 책을 만들어주신 신조사에도 깊은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2017년 11월
이 준 희

Posted by 無逸
2015. 6. 30. 14:16


 

 

 

 


 

 


 

안녕하세요!


 

여기에도 무척 오랜만에 인사를 드리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단편소설집을 한 권 소개해볼까 합니다.

뜬금없죠? 맥락도 없고.

 

[말하자면 좋은 사람]이라고, 정이현 님의 단편소설집입니다.


나름 대중적인 인기가 있는 소설가죠?

표절 논란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운 문인인 것 같습니다.


담담하게 일상을 묘사하되,

억지스런 결말 없이 정말 담담하게 하던 얘기를 그만두는 듯 한 느낌의 소설들이 모여있습니다.

 

읽어보신 분들 많으시겠지만,

저는 느즈막히 우연히 알게 돼서 사고,

아내와 둘이 재밌게 읽었습니다.


요즘같이 ...

 

정치는 보면 피꺼솟이고,

경제는 암담하고,

사회는 막막하고,

애들은 무섭고, 미안하고,

근육은 점점 줄어들고,

배까지 점점 늘어지는 계절에는

 

단편 소설 한 권 보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더군요.

 

 

 

 

 

 

 

 

 

 

Posted by 無逸
책/Giorgio Agamben2009. 12. 15. 00:20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들라크루아 그림



GIORGIO AGAMBEN이 「목적 없는 수단」에서 밝히는 주권(主權)의 개념에 대한 설명은 탁월하다.

그에 따르면 주권권력의 원초적 중핵은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이라고 단언한다.
처음엔 의아할 수밖에.
주권은 국민에게 있으며, 국가의 추상적 최고 권리라고 배워왔는데.. 단순히 생사여탈권이라니..

하지만 토머스 홉스가 주권을 정립할 때 자연상태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고 설명한 것을 놓고
AGAMBEN이, 이것은 자연상태에서의 삶은 그 존재가 무조건적인 죽음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는 뜻이라고,
다시 말하면, 만인에 대한 만인의 무제한적 권리가 허용되는 상태라고 설명하는 대목에 이르면
AGAMBEN의 설명이 갑자기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

국가에 속하여 살아가는 삶도 결국 같은 것이라고 한다.
단지 만인에 의하여 죽임을 당할 수 있는 상태에서
Leviathan, 즉 주권의 현실태인 국가권력에 의해서만 죽임을 당할 수 있는 상태로 옮겨온 것 뿐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주권자에 의해 생명 존속 여부가 결정되는 개인의 삶은 매우 예외적인 것이지만..
예외상태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더이상 예외적인 것이 아닌 것이 되었고
이와 같이 벌거벗은 우리의 삶은 단지
유권자, 여성, 노인, 피고용자 등 추상적으로 재코드화된 법적-사회적 정체성으로 포장되어 있을 뿐이라고 한다.

생사여탈권...
과거 로마법 시대에는 아버지가 자식에 대해 가졌던 권리라고 하는..
주권의 중핵이라는 이 생사여탈권 문제는
기업과 근로자의 관계에도 적용이 가능할 듯 하다.

실업률이 높은 오늘날
근로자의 대사용자 근로계약 해지는 더이상 공허하고 불가능한 개념이 되었고..
사용자, 즉 기업에 의한 해고는 그 근로자의 생계수단을 박탈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즉, 生死與奪權 아니겠는가.

Posted by 無逸
책/Giorgio Agamben2009. 12. 15. 00:17


GIORGIO AGAMBEN이 지은 「목적 없는 수단」을 읽다 보면..
난민의 개념을 인권이 온전히 실현되고 보호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척도로 이해하고,
오늘날 난민을 배제하고자 하는 전통적 국민국가의 모습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다.

수용소에 대한 고찰과 난민의 문제에 대한 "포함적 배제"라는 통찰에 이르면 그 사유의 깊이와 자유로움에
감동 받지 않을 수 없다.

국민인 남성, 그 중에서도 권력을 가진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국민이 아닌 사람, 여성 등 인민이 어떻게 배제되고, 배제되는 동시에 수용소의 영역에 포함되게 되는지..
그들이 어떻게 분리되어 벌거벗은 생명으로서 정치의 대상이 되어 버리는지 하는 논리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오늘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여성의 지속적 소외, 빈민에 대한 억압,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 용산참사, 미혼모, 외국인 근로자, 불법 체류자 문제 등이
결국 하나의 근본적 원인을 갖고 있는 문제라는 데에까지 사유가 이르게 되는 것이다.

Posted by 無逸
책/Giorgio Agamben2009. 12. 7. 18:35



GIORGIO AGAMBEN의

「목적 없는 수단」의 첫 부분에 보면

고대 그리스에서는

모든 생명체에 공통되는 살아있다는 사실을 뜻하는 조에(ZOE)와

한 개인이나 집단에 고유한 살아가는 방식이나 형태를 의미하는 비오스(BIOS)라는

단어가 구별되어 사용되었다는 설명이 나온다.


단순히 먹어서 지탱되는 것에 불과한, 목숨을 부지하는 삶은 ZOE,

'더 나은' 의미를 찾으며, 행복에 부여되는 삶은 BIOS라는 것이겠지..


오늘날 모든 사람들이 매달려 있는 노동은 ..

ZOE를 위한 것인가 BIOS를 위한 것인가?

 
GIORGIO AGAMBEN은 이를 정치의 문제로 논하고 있지만,

노동과 정치를 도저히 떼어놓을 수 없는 요즘..

노동이 규정짓는 나의 삶은 ZOE인가 BIOS인가 ...

?


Posted by 無逸
2009. 3. 3. 20:30

제목: 오래된 책 한 권 소개합니다
작성자: 돌쇠4
등록일: 2009-02-05 00:21
조회수: 698 / 추천수: 3
오래된 책 한 권 소개합니다

이 책 기억하시나요? "주머니 속의 메모리 관리"


95년 책이면 도스 끝물이죠.. 생각보다 오래된건 아니군요 ㅋㅋ


대충 이런 내용들이 있습니다.
"dos = high" 무슨 뜻인지 생각나시나요?


찍은 김에 한 번 더 올립니다 ㅎㅎ

"주머니 속의 메모리 관리"

책 이름에도 유행을 선도하는 이름들이 있었는데요...
"...길리잡이...", "... 따라하기..."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죠.
"주머니 속의 ..." 라는 이름도 꽤 통했던 이름이었습니다^^

한 4년 동안 노트북 가방에 함께 넣어서 늘 들고 다녔던 책입니다.
책장에 꽂혀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었는데..
꺼내보니 새롭군요 ㅎㅎㅎ

이것 저것 메모리 관리 하고 프로그램 깔면서 한 낙서들도 있구요..

파코즈에 올릴까 하다가 여기에 먼저 선보입니다~

Posted by 無逸